그냥 보아서 좋은 것/한국의 문학명승지

가람 이병기 생가

꿈꾸는 세상살이 2009. 1. 8. 17:52

 

69. 이병기 생가

 

 

 

 

 

 

 

 

 

 

 

 

 

 

 

 

 

 

 

 

 

 

 

 

 

 

 

 

 

 

 

 

 

 

69. 이병기 생가


전북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573번지 진사동에 가면 가람 이병기(1891.03.05~1968.11.28)의 생가가 있다.

 

이 집은 지방기념물 제6호(1973.06.23)로 수우제(守愚祭)라 불리는데 고패형의 건물로 안채와 사랑채, 고방채, 모정으로 나뉜다. 들머리에 있던 행랑채와 남쪽의 부속건물은 근래에 철거되었다.

모정의 전면에 연못이 있고, 높지 않은 축대 위에 세워진 안채는 안방과 부엌이 붙어있으며 건넛방과 마루가 있는 ㄱ자형이다.

 

수우제와 진수당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는 사랑채는 4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 뒤에 장독대가 있으며, 집의 뒤쪽으로는 언덕배기 대나무 밭이 울타리를 대신하고 있다. 철거된 행랑채와 고방채에 각각 다른 변소를 가지고 있어 작지만 선비 집안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모정 옆에는 오래된 탱자나무가 있는데 수령이 약 200년에서 최대 600년 까지 추정되며 전라북도 지방기념물 제112호로 지정되어 있다.

 

가람 생가의 입구에 들어서면 오른 쪽으로 기념비가 있고, 기념비의 좌우로 연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적은 비석이 있다. 그 옆에는 선생의 묘를 알리는 커다란 비석이 있는데, 사실 이 비석을 지나 기념비와의 사잇길로 돌계단을 올라가야 된다. 생가의 뒤편에 있는 대나무밭 둘레로 돌아 가보면 일가의 묘가 있고, 조금 지나서 선생의 묘소가 있는데 우거진 대나무로 인하여 조망을 할 수가 없다.

 

호가 가람(嘉藍)인 이병기(李秉岐)는 시조문학 부흥에 한 획을 그었으며, 현대 시조의 아버지라 불리고 있다. 이는 당시 한문 시조의 주류에서 한글을 사용하며, 향토적인 냄새를 풍기는 작품으로 민족을 일깨운 문학가였다.

 

16세가 되던 1906.12.05 김문수와 결혼을 하였으나, 을사보호조약 등으로 나라가 혼란한 때에 옛글도 중요하지만 신학문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전주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1910년 4월에 서울로 올라가 관립한성사범학교에 입학하면서 야간에 조선어 강습원에서 문법에 대한 강의를 듣는 등 우리말 연구와 깊은 인연을 맺었다.

 

1913년 사범학교 졸업 후 전주의 보통학교 교사로 발령을 받았으나 이에 더하여 정규과정을 받지 못하는 청소년들에게도 배움의 길을 열어 우리말과 글을 가르쳐주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서울로 와서 큰일을 도모하던 중 1921년 12월에 권덕규, 최두선 등과 함께 ‘조선어연구회’를 조직하였는데, 이는 주시경 선생으로부터 한글의 소중함을 깊이 인식한 연유로 추정된다.

 

1920년 ‘공제(共濟)’ 창간호에 ‘수레 뒤에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당시 신시와 신소설의 문예운동에 대하여 시조에도 신시조 운동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시조란 무엇인가’, ‘시조는 혁신하자’ 등의 글을 연달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26년 시조문학의 구심점이 된 ‘시조회(時調會)’를 창립하고, 1928년 이를 ‘가요연구회(歌謠硏究會)’로 변경하면서 조직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고시조에 대한 무조건적 비판이 아니라는 듯 ‘가루지기타령’, ‘인현왕후전’, ‘어우야담’, ‘금강경삼가해’ 등과 같은 고전을 발굴하기도 하였다. 그가 모은 자료들은 서울대학교에 기증하여 보존되고 있다.

 

1930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제정위원으로, ‘조선어 표준어’ 사정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전국을 순회하면서 우리말 강연이나 우리 문학에 대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함경남도 함흥경찰서로 잡혀가 1년간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해방 다음해인 1946년 10월 3일 서울대학 문리대에서 국문학개론을 강의하기도 하였으나, 한국전쟁으로 고향에 내려온 후에는 1951년 전주의 명륜대학에서, 1956년에 전북대학교의 문리대에서 강의를 하였다. 이때 고향에 내려오면서 고서를 트럭에 싣고 온 것은 훗날 두고두고 회자되는 일화였다. 1956년 교수로 근무하면서 ‘국어국문학’에 논문 ‘별(別) 사미인곡’, ‘속(續) 사미인곡’을 발표하였다. 오랜 지병을 앓아온 가람은 여산의 생가에서 별세할 때까지 시조작가로, 국문학자로서 일생을 보냈다.

 

저서로는 ‘역대시조선’, ‘가람문선’, ‘국문학전사’ 등 많이 있으며, 1960년 학술원공로상, 1962년 국민훈장 문화포장, 1961년 전북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생가 외에도 전주시 다가공원에 시비가 있으며, 고향의 여산초등학교에도 시비가 있다.

 

가람의 시조는 얼핏 현대시와도 같은 형식을 유지하고, 한글사용으로 일상감을 주고 있다.

------------------

나의 조국


물은 흐리다 맑다 뫼들은 검다 붉다.

무덤을 짓다 밭을 풀어 씨를 삐다.

잃었다 다시 찾아온 나의 조국 아니가.


성급히 빼든 칼을 가만히 도로 지어라.

죽어도 넋이라도 우리를 못잊던 어버이

그 피를 나누어 받은 나의 오뉘 아닌가.


우리 가는 길이 점점 가까워 온다.

손을 서로 들고 만세를 부르짓으며

에덴의 동산보다도 워싱턴을 바란다.

----------------------

앞을 서서 가시다


온누리 컴컴하고 바람도 사납운 데

꺼지는 그 등불을 다시 밝혀 손에 들고

그 밤에 험길에 앞을 서서 가시다.


--------------

별 


바람이 서늘도 하여 뜰앞에 나섰더니
서산머리에 하늘은 구름을 벗어나고
산뜻한 초사흘달이 별 함께 나오더라
 
달은 넘어가고 별만 서로 반짝인다
저 별은 뉘 별이며 내 별 또 어느 게오
잠자코 홀로 서서 별을 헤어 보노라

'그냥 보아서 좋은 것 > 한국의 문학명승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불문학관  (0) 2009.04.03
서동공원과 미륵사지  (0) 2009.01.19
채만식 문학관  (0) 2009.01.15
이매창의 묘  (0) 2009.01.11
김수영 시비  (0) 2009.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