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봄내는 어디서 오나

꿈꾸는 세상살이 2022. 1. 21. 17:27

봄내는 어디서 오나

 

봄내는 봄에서 나는 냄새일 것이다. 풋거리에서 나는 냄새가 풋내임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럼 봄의 냄새는 어디서 나올려나 생각해본다. 아마도 누구든지 냉이와 달래에서 나올 것이라 생각할 듯하고, 귀한 진달래와 동백에서 나올 것이라는 주장도 다분하다. 이것은 당연 감상에 젖어야만 가능한 말씀이다.

, 첫봄이라면 차가운 눈발을 이겨내며 깃발을 앞세워 달려온 매화를 떠올려본다. 메마른 가지에 매달렸다가 아마 죽었음이 분명하다고 믿었지만, 그래도 돋아나는 꽃이라서 애처롭고 아련한 동감을 불러냈을 것이다. 딴에는 엄동설한을 극복한 꽃망울이 아름답고 고상해 보인다. 냄새는 강렬하지 않으며 지루하지 않은 탓인지 은은하다. 긴긴 겨우내 굶주렸던 향기를 찾다가 혹시 진한 향기에 취할까 우려되어 배려했는지도 모른다. 나를 위해 종족을 위해 향기를 뿜어내는 매화가 아니라 그저 멀찍이 바라보는 나를 위하여 풍기는 화생살이 향기인가 생각한다.

그래도 부지런한 벌은 어김없이 일터로 모여든다. 그렇지만 매화의 본분을 알아채고 몰려든 벌은 주고받는 상생의 숙제를 풀어가는 중이다. 나는 조용히 바라보다가 때를 타 야금야금 훔쳐먹는 계획적 인생살이다.

우수 경칩에 개구리로부터 시작되는 봄 냄새는 맡아본 적이 있는가? 개굴개굴거리는 개구리 소리에 실려 오는 냄새는 어떤 냄새일까. ! 봄이다 하는 생각에 봄 냄새를 맡아본 적이 있는가. 바람에 실려 오는 냄새는 이미 김빠진 냄새라서 진정 봄 냄새가 아니다. 내가 먼저 맞아 알아채는 냄새가 진정 봄내다. 누가 보여주어도 쥐어 줘도 냄새에 취할 수는 없다.

봄내는 형체를 가진 물질이 아니라 귀하고 귀중한 냄새에 속한다. 눈을 떠야 세상이 보인다는 책처럼 봄내는 내가 찾아가야만 맡을 수 있는 냄새다. 내가 직접 맡아야 느낄 수 있는 냄새라야 분명하다.

동토를 뚫고 고개를 내미는 꽃이 봄꽃이다. 눈발 속에서도 빼꼼히 얼굴을 보여주는 꽃이 봄내음이다. 한 송이 꽃을 피우기 위해 얼마나 혹독한 시련을 이겨냈을까? 열정이 솟아올라 맺는 결과이다. 게으른 땅이 게으른 눈이 아직 깨어나지 못했어도 어김없이 도전하는 꽃이다. 설령 한두 번 기회를 놓쳤더라도 틀림없이 도전 재도전을 위해 응집해낸 결과물이다. 그 이름도 아름다운 복수초.

복수초는 눈이 미처 녹지 않았어도 벌써 기지개를 치면서 힘을 모았다. 차가운 눈 밑의 동토는 깜깜한 한밤중일 것이다. 그런 환경에서도 힘을 내어 뿌리에 발돋음했으며, 여린 푸성귀를 믿고 응원했다.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한 송이 꽃을 복수초 대명사로 들어 올렸다. 그에 감동되어 얼음장은 드디어 고개를 숙이고 밀렸다. 복수초에 항복한 것이 아니라 꽃이 올라올수록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마치 성냥팔이 소녀에서 본듯이 아름다운 꽃이다.

 

봄내는 복수초에서 온다는 말이 분명하다. 내가 아직까지 복수초 꽃내음을 맡아본 적이 없어도 분명히 꽃내음이 있을 것이다. 혹시 목단처럼 꽃내음이 없을까? 모란이든 목단이든 냄새가 없어도 상관없다. 복수초의 꽃냄새를 맡아본 사람이 세상 어디에 없어도 문제없다. 꽃내음은 그저 피어 살아있는 그 순간뿐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 봄내를 풍겨주는 그 원인은 어디일까. 꽃냄새를 따라 찾아 들추면 복수초가 굳굳하게 살아온 땅이요 얼음을 녹여 먹는 물인가 싶다. 아름다운 꽃과 그윽한 냄새도 숱한 노력으로 발화되었으며, 고고한 품위를 간직하는 방법으로 눈 속을 선택했다. 설상가상은 기본이며 많고 많은 등산객이 짓밟아도, 아우성 없이 숨소리 없이 그저 묵묵히 자신이 할 일로 만들어진 태생이다.

 

복수초의 냄새가 봄내라고 발견한 것도 사람이 만들어낸 단어에 지나지 않다. 사람이 사람을 위주로 만들어낸 것이 단어이며 언어다. 그 중의 일부분이 봄내를 찾아보자는 주제이다. 그러나 따져보면 일부러 찾아볼 필요도 없고 찾아낼 이유도 없다. 그저 생기는 자연에서 체득하는 것이 순리를 따라 그 어원을 살펴보면 간단하다. 복수초를 품어준 동토와 얼음장은 어디서 왔을까, 언제부터 생겼을까?

태초에 땅과 바다를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신과 신앙심을 믿는다고 치자. 그런 땅에서 그런 물에서 봄내가 오는 것은 맞지만, 항상 그렇게 말꼬투리를 잡으면 봄내는 아니다. 봄내는 봄이 오면 봄에서 풍겨주는 냄새를 말할 뿐이다. 다시 거듭하지만 봄내가 오면 반드시 봄이 되기 전에 솔솔 풍겨주는 냄새가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봄내는 반드시 겨울에서만 온다는 말씀이 진리이다.

겨울이 혹독했다거나 가끔은 따사롭다 했다고 치더라도 분명히 봄 전에는 엄연한 겨울이 존재한다. 어느 누구도 거절하거나 부정할 수도 없는 정해진 순서이며, 그래서 봄내는 분명히 겨울에서 온다는 이론이다. 삼단논리에 따라 연역법(演繹法)을 대입하여 봄은 어디에서 오는가 하면 바로 겨울이라는 정답에 이른다. 그러니까 봄 내음은 겨울에서 온다는 것이 진리로 귀결된다. 이른바 귀납법과 연역법을 넘나들어도 봄내는 겨울에서 비롯된다.

 

겨울! 혹독했다면 바로 따뜻한 봄이 온다는 말이다. 아마도 장마가 많이 지면 겨울에 눈이 없다는 경험이며, 눈이 많이 내리면 여름 농삿물이 넘친다는 추론을 부정하지 못한다. 춥고 가혹한 시련을 못 견디다가 죽을 둥 말 둥 하는 사이에 춘래불사춘이 온다면 얼마나 찬란한 꽃이 피었을까. 복수초! 감상하기에 애처롭고 보기에 눈이 시리다. 아마도 복수초의 꽃망울은 봄부터 아니 겨울부터 영글기 시작하였음이 짐작든다. 그래야 봄이 온다면 바로 이때다 하는 순간 꽃을 활짝 펼 것이고. 기회를 놓치지 않고 호시탐탐 엿보아야만 살아가는 꽃의 숙명이다. 만약 게을러서 준비가 부족했다면 보나 마나 피기 전에 메말라 죽고 만다. 근근이 연명했다고 하더라도 날개를 펴지도 못한 채 다시 한번 혹독한 시련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바로 순리이다.

봄은 겨울에서 시작되듯 봄내도 바로 겨우내부터 출발한다. 봄을 잉태한 어미가 바로 겨울이다. 어미의 노력은 숭고한 모정일 것이 분명하다.

'내 것들 > 산문, 수필,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정말 어려운가?  (0) 2022.09.04
첫눈을 맞으며  (0) 2022.01.17
작심삼일 후 벌어진 일  (0) 2022.01.17
작심3일  (0) 2022.01.17
용상의 계단  (0)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