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것들/익산! 3000년 세월의 흔적 176

18. 왕과 왕실을 위한 사찰 익산제석사지(益山帝釋寺址)

익산제석사지(益山帝釋寺址)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247-1번지 외 인근 일대 24,665㎡가 오래된 백제의 사찰지로서 1998년 5월 12일 사적 제405호로 지정되었다. 제석사지는 일부 국유의 토지와 일부 사유지로 구분되어있으나 마을이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서 절터는 많이 훼손된 상태다. 백제 무왕..

17. 전국최초의 5년제 관립학교 익산 구이리농림학교 축산과교사

익산 구이리농림학교 축산과교사(益山 舊裡里農林學校 畜産科校舍) 전라북도 익산시 마동 194-5번지에 이리농림학교가 있었다. 1922년 개교당시에는 농과와 임과로 시작하여 본관과 정원을 갖추었으나, 곧 이어 축산과를 신설하고 399㎡의 축산과 교실 1동을 지었다. 그리고 오랜 세월이 지난 2005년 6월 18..

16. 익산에 두 개나 세워진 서울 출신의 영의정 김육 불망비

김육 불망비(金堉 不忘碑)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477번지에 있는 비석으로 2002년 12월 14일에 익산시 향토유적 제11호에 지정되었다. 이는 청풍김씨종중의 소유이다. 함라면 함열리 473번지에 있는 조해영가옥의 입구좌측에 위치하며, 비(卑)의 후면이 현재 조해영가옥의 진입로와 접해있다. 김..

15. 명문 여학교 정원에 서있는 남중동5층석탑

남중동5층석탑(南中洞五層石塔)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201-5번지 이리여자고등학교 정원에 자그마한 석탑이 하나 있는데, 2003년 11월 15일 익산시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이탑은 원래 전북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三奇里)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왔다고 전한다. 남중동5층석탑의 기단부(基壇部)는..

2010.01.05 아침 눈길에 공단을 둘러보았다.

눈이 내렸다. 일기예보에 많은 눈이 내릴 것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아침 일찍 밖을 내다보니 온통 뿌연기운이 감돈다. 그렇다. 이것은 필시 눈이 많이 온 증거리라 생각하고 창문을 열어제켰다. 정말 온통 하얀 세상이었다. 지난 크리스마스때는 화이트 크리스마스가 될 것이라고 하더니 눈이 오지 않..

14. 섣달 그믐밤에 만나는 고도리석불입상

익산고도리 석불입상(益山古都里 石佛立像) 익산고도리석불입상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1086번지와 서고도리 400-2번지에 분리되어 있으며, 각기 커다란 하나의 돌로 만들어져 세워진 불상 2구를 말한다. 이 사람모양의 석상은 국가소유로 불교의 상징인 불상이며,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46..

13. 우리민족의 최대 민속놀이인 농악/무형문화재 이리농악

이리농악(裡里農樂) 이리농악은 이리지방에서 전해오는 민속음악의 하나다. 1966년 6월 29일 우리의 민족의 고유음악인 농악이 중요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고, 이리농악은 후에 ‘제11-다’호로 추가되었다. 그것은 이리농악이 가지는 정통성과 우수성을 인정한 것이라고 본다. 현재는 익산시 모..

12. 내륙지방의 해송인 익산신작리곰솔

익산신작리곰솔(益山新鵲里곰솔)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신작리 518번지에 약 350년이나 된 커다란 소나무가 한 그루 있는데, 1967년 7월 11일에 주변 1,828㎡를 포함하여 천연기념물 제188호로 지정되었다. 망성면 신작리는 익산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인근의 충남으로 통하는 접경지에 해당한다. 따라서 ..

11. 미륵산성 일명 기준성이라 불리는 고대석성

미륵산성(彌勒山城)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산124-1번지 미륵산 정상의 ‘우제봉’에서 동쪽으로 둘러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국유로 1973년 7월 9일 시도기념물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산은 주봉을 따라 북쪽으로 가다보면 조금 낮은 봉우리가 또 하나 있다. 이곳은 헬기장이며, 더 내려가면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