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그러지 마세요 너무 그러지 마세요 / 한 호철 나는 얼마 전에 말의 실수를 저질렀다. 사실은 나의 말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닌데, 설명이 부족한 경우였었다. 우리말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고 하는 말이 있어 주의를 요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 와 어가 아닌 똑같은 단어를 가지고도 실수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어..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교사의 길 교사의 길 고등학교 선생으로 근무하고 있는 동창생과 여러 이야기들을 나눈 적이 있다. 그러던 중 어떤 때는 1월 1일과 설날, 추석날, 이렇게 1년 중 3일을 제외하고는 매일 학교에 나가서 업무처리도 하고 수업준비도 했다고 들었다. 그 말을 들은 순간에는 직장인이 그럴 수도 있겠구나하고 생각했었..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남을 돕는 마음 남을 돕는 마음 / 한 호철 남을 돕고 산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그래서 그렇게 도와가며 살아가는 사람이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느끼며 살아간다. 그러면 그 사람은 건강해지며, 보람을 느끼게 되며, 더욱 많은 부문에서 남을 도울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자원봉사의 선순환 고리이다. 그러면 이렇..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인위적 체험학습 인위적 체험학습 / 한 호철 요즈음 아이들은 옛날과 달라서 노는 방법이 다르다. 전에는 집에서 제작 가능한 장난감이나 놀이기구가 주를 이루었고, 그것도 여의치 않으면 그냥 주변에서 얻을 수 있는 소도구들을 활용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집에서 자체 조달이 가능한 것은 거의 없다. 그대신 한 번 ..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한약학과의 탄생 한약학과의 탄생 / 한 호철 한국의 한의술을 이제 서양에서도 조금씩 대체의학으로 인정해주기 시작하고 있다. 양의, 양약의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 현대의학이 모두 거쳐간 곳에서 최후에 시도해본 기술이 효과를 보자 한의학을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우리는 조선시대 때부터 전국에 3대 한약..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단절된 정책 단절된 정책 / 한 호철 11월 7일은 2002학년도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을 치른 날이었다. 3년 전, 당시의 고등학교 신입생들이 대학에 들어가는 2002학년도부터는 공부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개인의 특기를 살려 공부 안하고도 대학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교육 정책을 발표했었다. 따라서 일선 학교..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아버지 산 아버지 산 / 한 호철 우리나라에는 최고의 영산 백두산과 그리고 한라산, 지리산 등 유명한 산이 많다. 이들은 그가 갖고있는 고유명사와, 그 외에도 재질에 따른 빙산, 석산, 소금산, 광산 등이 있고, 어떤 유래에 따른 귀신산이나 호미산, 신발산, 여우산 등 붙이기 나름의 다양한 산이 있다. 그 중에서..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한의 문화 한의 문화 / 한 호철 세상을 살면서 자신의 꿈을 모두 이루고 살기는 힘든 일 이다. 자신의 노력이 부족했든지 다른 더 좋은 꿈으로의 전환 때문이든지, 환경의 변화 때문이든지 등의 사유로 꿈을 접을 수밖에 없는 경우가 간혹 있다. 그러면 그 꿈에 대한 동경심을 간직하게 되고 가까운 사람이 그 꿈..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애들 기죽이는 것 애들 기죽이는 것 / 한 호철 우리 집 아들녀석이 어렸을 때, 울면서 시장을 돌아다닌 날이 많았다. 아파트 단지 담밖에 재래시장이 있어서, 주로 애 엄마하고 같이 시장을 다녔는데, 울지 않을 때 보다 울고 다닐 때가 더 많았다. 그 당시 많지 않은 식구인데다 아이들은 어리고, 나는 아침에 나가면 밤..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
기러기의 속 뜻은 기러기의 속뜻은 / 한 호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잉꼬부부는 부부간의 금실이 좋은 것을 비유하는 말인데, 이때 잉꼬는 새의 한 종이다. 그러나 이 잉꼬는 새장에서 한 쌍이 같이 살고 있을 때는 매우 다정하게 보이지만, 어느 한쪽이 죽거나 헤어지게 되면, 나머지 한쪽이 곧바로 새 짝을 찾고 다시 만.. 내 것들/산문, 수필, 칼럼 2006.06.04